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44)
리틀포레스트해석 누구나 자신의 작은 숲을 가꾸며 살아간다 리틀포레스트해석 이 영화를 처음 접했을 때 제목과 포스터만 보고 ‘힐링 영화’ 일 것이라 생각했다. 힐링이 필요했으면 영화를 알게되자마자 바로 봤겠지만 당시 난 더 바쁘고 쉴 새없이 움직이고 싶었다. 바빠서 지쳐버린 순간 힐링이 필요해가 아닌 더 바쁘고 더 달리고 싶고 그게 그 당시 내겐 기쁨을 주는 힐링이라 느꼈다. 바쁘게 굴러가던 사회가 코로나19로 인해 정지되고 천천히 흘러가기 시작했다. 직장인들은 무급휴가를 받고, 열심히 고등학교 3년을 달려 보상처럼 대학 새내기들은 꿈꾸던 캠퍼스 라이프를 포기하게되고, 대학생이며 초중고학생들 또한 점점 미뤄지는 대면 개강과 개학을 보며 한 학기 마음을 접고 있었다. 재해로 무력한 사회 속 나 또한 점점 힘이 없어져갔다. 말로 듣던 ‘번아웃’ 시기가 이런걸까 생각..
[영상미 넘치는 화면 구도] 기본요소와 원칙2 : 벡터, 루킹룸, 리드룸 그래픽벡터 지시벡터 동작벡터 루킹룸 노즈룸 리드룸 지난 포스팅에 이어 오늘은 벡터, 루킹룸/노즈룸, 리드룸에 대해 다뤄볼 것이다. 3. 벡터 벡터란 화면을 보는 사람의 눈길을 특정 방향으로 이끄는 힘이다. 화면 내에서 작용하는 가장 강한 힘은 어느 한 곳에서 다른 한 곳으로 시선을 이동시키는 지향성이라 할 수 있는데 이것이 바로 벡터인 것이다. 화면 내에 작은 물건과 큰 물건이 있다면 상대적으로 큰 물건에 눈길이 갈 것이고 주인공이 손을 내밀어 어느 한 쪽을 가리킨다면 자연스레 눈이 손을 따라 갈 것이다. 이렇게 눈길을 움직이는 요소에 따라 그래픽 벡터, 지시 벡터, 동작 벡터로 나눌 수 있다. 3-1. 그래픽 벡터 그래픽 벡터는 화면의 정적인 구성 요소이다. 움직이는 피사체 대신 건물이 이루는 선이나 ..
[영상미 넘치는 화면 구성] 기본원칙과 요소1 : 선의 방향, 화면의 균형 영상미를 위한 기본원칙과 요소 화면을 효과적으로 구성하기 위해선 기본적으로 고려할 요소가 있다. 우리가 보는 영상을 생각해보면 화면 구도에 따라 입체감이 느껴지기도 하고 평면적이기도 한 걸 알 수있다. 때론 불안해보이거나 안정감있게 느껴질 때도 있다. 이는 화면을 구성하는데 쓰이는 여러 요소에 따라 달라진다. 기본적으로 쓰이는 요소를 알고 그 효과를 알면 원하는 방향으로 화면을 잘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1. 수직, 수평, 사선 1-1. 수평 / 수직 구도 화면 내 구도는 우리는 알아차리지 못한 사이 자연스레 선이 만들어낸다. 이 때 우리는 이 선에서 일정한 방향성을 느끼는데 수평선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수직선은 아래에서 위로 뻗는 듯한 느낌을 받는다. 이는 앞 포스팅에서도 말한 시지각 심리학과도 연..
[영상미 넘치는 화면 구성] 화면 구도와 심리 영상미를 위한 화면구도와 심리 '영상'이라 했을 때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것은 화면이라 할 수 있다. 영화, 연기자, 광고물, 텔레비전 등등이 될 수 있지만 가장 1차원적으로 생각해보면 화면이다. 화면을 통해 우리는 움직이는 피사체를 보고, 물체를 보며 감독이 표현하고자 하는 의미를 찾는다. 화면을 보고 영상을 습득하는데 이때 화면 구도는 매우 중요하다. 우리는 인지하지 못해도 화면 내 구도는 상황에 따라 시시각각 바뀌고 피사체를 따라 움직이기도 하며 이는 그 상황을 더욱 효과적으로 전할 수 있는 도구가 된다. 잔잔한 장면에서는 정적이고 안정된 구도를, 긴박한 장면에서는 흔들리고 불안한 구도를 써 시청자에게 효과적으로 감정을 전달할 수 있다. 화면 구도를 공부하다보니 화면 구도와 심리학의 상관관계는 매우 ..